조식 (曹植, 192~232)
異名: 曹植(Cáo Zhí), 자 자건(子建), 시호 사(思), 진사왕(陳思王)
국적: 중국 삼국시대 위(魏)
활동분야: 문학
출생지: 중국 안후이성[安徽省]
주요저서: 《조자건집(曹子建集)》
진사왕(陳思王)이라고도 불리는 중국 삼국시대 위(魏)나라의 시인. 자기를 콩에, 형을 콩대에 비유하여 육친의 불화를 상징적으로 노래한 《칠보지시(七步之詩)》를 지었다. 당시의 문학적 중심을 이루었고, 오언시를 서정시로서 완성시켜 문학사상 후세에 끼친 영향이 크다. 주요 저서에는 《조자건집(曹子建集)》등이 있다.
자 자건(子建). 시호 사(思). 안후이성[安徽省] 출생. 마지막 봉지(封地:陳)에 의하여 진사왕(陳思王)이라고도 불린다. 위의 무제(武帝) 조(操)의 아들이며, 문제(文帝) 조비(曹丕)의 아우이다. 그들 세 사람을 삼조(三曹)라 하며, 함께 건안문학(建安文學)의 중심적 존재로서 ‘문학사상의 주공(周公)·공자(孔子)’라 칭송되었다. 맏형 비와 태자 계승문제로 암투하다가 29세 때 아버지가 죽고 형이 위의 초대 황제로 즉위한 뒤, 시인 정의(丁儀) 등 그의 측근자들은 죽음을 당하였고, 그도 평생 정치적 위치가 불우하게 되었다.
그의 재주와 인품을 싫어한 문제는 거의 해마다 새 봉지에 옮겨 살도록 강요하였고, 그는 엄격한 감시하에 신변의 위험을 느끼며 불우한 나날을 보내다가, 마지막 봉지인 진(陳)에서 죽었다. 어느 날 연회석상에서 형 문제가 일곱 걸음을 걷는 사이에 시 한 수를 짓지 못하면 대법(大法)으로 다스리겠다(사형)고 하자, 그 말이 끝나기가 무섭게 “콩을 삶기 위하여 콩대를 태우나니, 콩이 가마 속에서 소리 없이 우노라. 본디 한 뿌리에서 같이 태어났거늘 서로 괴롭히기가 어찌 이리 심한고(煮豆燃豆萁하니 豆在釜中泣이라 本是同根生으로 相煎何太急고)”라 읊어, 형을 민망하게 만들었다. 자기를 콩에, 형을 콩대에 비유하여 육친의 불화를 상징적으로 노래한 이 시가 바로 이름난 《칠보지시(七步之詩)》이다.
그는 공융(孔融)·진림(陳琳) 등 건안칠자(建安七子)들과 사귀어 당시의 문학적 중심을 이루었고, 오언시를 서정시로서 완성시켜 문학사상 후세에 끼친 영향이 크다. 위 ·진(晉)을 거쳐 당나라의 두보(杜甫)가 나오기까지, 그는 시인의 이상상(理想像)이기도 하였다.
작품에는 역경과 고난을 읊은 대표작 《증백마왕표칠수(贈白馬王彪七首)》와, 《기부시(棄婦詩)》 《칠애시(七哀詩)》 등이 있다. 그는 부(賦)·송(頌)·명(銘)·표(表) 등에도 능하였는데, 특히 《낙신부(洛神賦)》 《유사부(幽思賦)》 등의 작품이 유명하다. 문집 《조자건집(曹子建集)》(10권)이 남아 있고, 그의 작품은 《문선(文選)》 《옥대신영집(玉臺新詠集)》 등에 수록되었다.
조식(曹植) 관련 한시
七步之詩(칠보지시)
조식(曹植) 관련 고사성어
煮豆燃豆萁 (자두연두기) | 才占八斗 (재점팔두, cáizhànbādǒu) | 七步之才 (칠보지재, qībùzhīcái) |
No comments:
Post a Comment